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구10

평판캠 기구를 활용한 I 모형: 캠의 회전운동을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메커니즘 캠 기구의 개요캠 기구(Cam Mechanism)는 기계 장치 등에서 입력운동을 특정한 방식으로 변환하여 원하는 출력운동을 생성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주로 회전운동으로 비선형적인 직선운동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며, 좁은 공간에서 기어나 링크 등에서 얻기 어려운 왕복운동, 간헐운동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자동화, 정밀한 동작 제어, 반복적인 동작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캠 기구는 기본적으로 캠(Cam)과 팔로워(Follower, 종동자)로 구성됩니다. 캠은 특수한 윤곽이나 홈이 있는 기계요소로서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하면서 팔로워의 움직임을 결정합니다. 팔로워는 캠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며, 캠의 형상에 따라 특정한 운동 패턴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운동 변환은 정밀하게 설계될.. 2025. 3. 20.
왕복 더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를 활용한 H 모형: 슬롯 링크를 사용해서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메커니즘 더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의 개요더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Double Slider Crank Mechanism)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 Slider Crank Mechanism)에서 변형된 기구입니다. 두 기구 모두 총 4개의 링크와 4개의 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모두 4절 링크 기구의 한 형태지만 미끄럼짝의 개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의 경우 미끄럼짝 1개와 회전짝 3개로 구성됩니다. 3번 링크(슬라이더)와 4번 링크(가이드)가 면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미끄럼운동을 하는 미끄럼짝을 이루고 있습니다. 더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의 경우 미끄럼짝 2개와 회전짝 2개로 구성됩니다. 3번 링크의 경우 한쪽은 2번 링크와 다른 한쪽은 4번 링크와 양쪽에서 미끄럼짝을 이루고 있습니다. 회전.. 2025. 3. 19.
막대기(stick), 링크(link), 링크 장치(linkage), 링크 기구(link mechanism)에 대해 막대기(stick)초기 인류가 사용한 가장 기본적인 도구로 돌과 막대기를 들 수 있습니다. 돌은 단단하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주로 자르거나 내리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에 비해 막대기는 길고 가벼우며 유연성이 있어 훨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특히 막대기는 단순한 잡고 사용하는 수준을 넘어,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뿐만 아니라 찌르기, 휘두르기, 밀기, 당기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땅을 파거나 사냥을 하며, 무언가를 휘젓거나 자신을 방어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막대기는 인류의 생존과 문명 발전에 있어 매우 실용적이고 다재다능한 도구였습니다. 지렛대(지레, leve.. 2025. 2. 27.
메커니즘(mechanism), 기구(機構), 기계적 운동(mechanical motion) 세상 속에서 움직이고 작동하는 것은 호기심의 주요 대상이 되곤 합니다. 기구, 장치, 작동완구, 기계, 로봇 등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양한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일정한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기계의 구조와 운동이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간단한 기계요소(machine element)와 메커니즘(mechanism)의 조합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번 글은 메커니즘, 기구, 기계적 운동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움직이는 사물을 이해하려면 메커니즘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메커니즘은 사전적 의미로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메커니즘(mechanism)이란?- 어떤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 원리- 기계의 구조, 기구(機構)  메커니즘을 의미하는 "기구(機構)"와 주방기구 또는 난방기구에 사용하는 “기구(器具)”는.. 2025. 2. 26.
반응형